[Office365] 엑셀로 매출 그래프 쉽게 만들기: 차트 초보 탈출 가이드

이미지
엑셀을 숫자만으로 보게 되면 너무 어렵고 헷갈립니다. 근데 이걸 그림처럼 보게 되면 이해하기가 쉽겠죠?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 글에서 '차트(그래프)'를 사용해서 숫자를 그림처럼 한눈에 보기 쉽게! 만들어 볼 예정입니다. 이 글에서 우리는 엑셀로 매출 데이터를 입력하고, 차트(그래프)를 쉽게 만드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엑셀로 매출 차트 만드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 숫자에 약하더라도 그림으로 이해하는 차트 바로 알아봅시다!! 왜 엑셀 차트가 필요할까요?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우리는 많은 숫자를 다룰 수밖에 없습니다. 예시를 들어볼게요 서울에 있는 버거킹 전체 매장의 매출을 알아본다고 해볼게요 그럼 날짜에도 숫자가 들어가고 매출에도 숫자가 들어가고 매장 코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여기까지만 보더라도 숫자가 대단히 많습니다. 숫자만 잔뜩 있게 된다면 표는 헷갈리고 이해하기도 어렵겠지요 이럴 때 사용하는 게 바로 엑셀 차트, 즉 그래프입니다. 차트를 만들면 복잡한 정보도 한눈에 알 수 있고, 모든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자 일단 간략하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면 바로 차트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그래프로 만들고자 하는 범위를 설정해 주세요 저는 가게 이름,  매출 모두 포함했습니다. 그리고 선택한 다음에 세로 막대형 그래프를 선택해 주세요 자 그럼 세로 막대형 그래프를 선택하고나면 어떻게 나오게 될까요? 추가적으로 차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제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차트 제목을 클릭하면 바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막대 그래프의 색을 변경하고 싶다면 차트를 클릭한 다음 우측에 붓(차트 스타일)을 클릭해주세요 그 다음 스타일 옆에 있는 색을 선택해서 막대 그래프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디테일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차트는 왜 필요한지 다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셀 차트를 만들면 복잡한 숫자도 그림으로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지금 예시로 들어본 매출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

[Office365] 초보자도 5분이면 마스터! PPT 애니메이션 효과 넣는 방법

이미지
슬라이드에 왜 애니메이션을 넣어야 할까요 슬라이드에 애니메이션을 추가하게 되면 더 멋지고 재미있는 발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오늘 이 글에서 파워포인트(PPT)에서 애니메이션 효과를 아주 쉽게 넣는 방법을 알아볼 예정입니다 . 단순한 글자나 색상을 추가하는 것보다 애니메이션을 활용하면 발표가 더 생동감 있고 집중력도 높아지기 때문이지요 그러니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왜 애니메이션 효과를 사용해야 하나요? 우리가 발표나 수업 자료를 만드는 상황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슬라이드가 너무 단조롭게 되면 재미가 없겠죠. 그러면 집중도가 금방 떨어지게 됩니다. 그런데 약간의 차별화를 둔다면 어떻게 될까요? 글씨가 천천히 나타난다, 그림이 회전하면서 올라온다, 표가 차례대로 올라온다 여기에다가 문장이 클릭할 때마다 나온다. 이런 기능들이 추가되면 재미있고 전달력이 강한 ppt가 됩니다. 이걸 가능하게 해주는 게 애니메이션 효과입니다. 직접 만들어보자 애니메이션 효과 애니메이션 효과를 추가할 텍스트와 도형은 임시로 추가한 상태입니다. 이 상태에서 애니메이션을 추가하고자 하는 텍스트와 도형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그리고 상단의 애니메이션 탭으로 이동합니다. 그럼 위의 이미지처럼 추가하고자 하는 애니메이션들을 간략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에서 보이는 '밝기 변화', '날아오기' 등을 선택해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에서 보이는 우측 상단 '클릭할 때'가 보이시나요? 슬라이드 쇼를 시작하면서 애니메이션이 언제 시작될지 정하는 기능입니다. 간단하게 몇 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클릭 시: 발표자가 클릭하면 애니메이션이 시작됩니다. 2. 이전 효과와 함께: 앞에 있는 애니메이션과 동시에 시작됩니다. 3. 이전 효과 다음에: 먼저 실행된 애니메이션이 끝난 뒤에 자동으로 시작됩니다. 제목은 '클릭 시', 이미지나 도형은 '이전 효과 다음에'로 적용하면 자연스럽습니다. 여기서 중...

[일반 IT] 윈도우 속도 느릴 때 이거 한 번 눌러보세요 (조각 모음 꿀팁)

이미지
윈도우 조각 모음 꼭 해야 할까?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가장 많이 겪는 고민 중에 하나입니다. "컴퓨터가 느려졌어요!" 이런 상황에서 많이 들어봤던 기능이 있습니다 '조각 모음' 이 조각 모음은 대체 뭔지 이 글을 통해서 간략하게 알아보고 유용한 기능인지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조각 모음이란 무엇일까 조각 모음이란? 컴퓨터는 파일을 저장할 때 빈 공간을 찾고 데이터를 쪼개서 저장하게 됩니다.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우리가 영화 하나를 결제한 후에 다운 받았다고 하겠습니다. 방금 다운 받은 동영상(영화) 파일 하나가 3개의 공간에 나눠 저장하게 되면, 이걸 반대로 불러올때도 3군데에서 찾아야 하니 시간이 더 걸리게 됩니다. 이렇게 조각내버린 파일들을 하나로 모으면 좋겠죠? 이때 하게 되는게 바로 '조각 모음'입니다. 왜 조각 모음을 해야할까요? 하드디스크(HDD)는 물리적으로 회전 하는 판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디스크가 이리저리 움직이며 흩어진 데이터를 찾으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겠죠? 조각 모음을 하면, 파일이 한 자리에 모여있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빠르게 읽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조각 모음을 해줘야 합니다. * 기타: SSD와 HDD의 차이 HDD는 조각 모음의 효과가 큽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물리적으로 헤드가 움직여야 하기 때문이죠 SSD 조각 모음이 필요 없습니다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처리합니다. 오히려 SSD의 경우 조각 모음을 자주 하게 되면 수명이 짧아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언제 조각 모음을 해야해요?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컴퓨터는 언제 조각 모음이 필요할까요? 제일 중요한건 내 컴퓨터가 HDD인지 SSD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내 PC -> 로컬 디스크 -> 속성 -> 도구 -> 최적화 버튼을 클릭해서 드라이브 유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 컴퓨터가 HDD인경우: 1~2개월에 한 번씩 조각 모음을 진행해주세요 내 컴퓨터가 SSD인 경우: 조각 ...

[Python] 파이썬 VSCode 연동 설치법, 왕초보도 10분이면 끝!

이미지
파이썬 VSCode 연동 하기   파이썬이 요새 가장 인기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하지만 파이썬 설치하고나면 어떻게 실행시켜야하는지 잘 모르겠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무작정 설치하고 끝나는게 아니라 개발할 수 있는 도구 (IDE)가 있어야 코드를 쓰고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이 글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중하나인 VSCode(Visual Studio Code)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썬에 왜 VSCode를 연동시켜야 할까요 파이썬은 기본적인 편집기로도 코드를 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금 더 편하게 코드를 작성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VSCode 같은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VSCode는 무료이면서 다양한 언어를 지원합니다. 하지만 단순하게 VSCode만 설치한다고 해서 파이썬을 쓸 수 는 없습니다. 연동을 해줘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거든요 그럼 바로 연동하는 작업에 대해서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썬, VSCode 실행하기 먼저  https://www.python.org/downloads/  링크로 들어가서 파이썬을 설치해주세요 파이썬 설치 관련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파이썬 설치 방법- https://blog.naver.com/wlss7/223869553574 파이썬 설치가 완료되면 VSCode(Visual Studio Code)를 설치해주세요 https://code.visualstudio.com/   자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윈도우용 VSCode 설치 프로그램을 받아주세요 설치할 때 원하는 옵션이 있으시면 추가해주세요 'PATH에 추가', 'Code를 지원하는 파일 형식에 대한 편집기로 등록합니다'는 기본으로 체크되어 있으며, 저는 '바탕 화면에 바로가기 만들기'만 체크했습니다. VSCode가 실행된 화면입니다. 이 상태에서 연동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왼쪽 제일 하단의 퍼즐 모양을 선택하고 검색 창에 Python을 검색해주세요 파이썬을 ...

[Blender] 블렌더 속도 2배! 꼭 알아야 할 단축키와 설정 팁

이미지
  쉽게 배우는 블렌더 단축키, 커스터마이징 블렌더는 디자인과 애니메이션 거기에 영상 편집까지 가능하게 해주는 무료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효율성이 떨어진다면 작업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효율성을 극대화시켜줄 단축키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렌더 단축키? 저도 처음에는 그랬습니다. 단축키를 많이 모르다보니 모든걸 마우스로 해결하려고 했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작업을 하다 보면 효율이 떨어지고 속도도 떨어집니다. 그런데 단축키를 알고 나서 효율이 급격하게 늘어나더라고요 그래서 전달해드리려고 합니다. 효율을 극대화 시켜줄 블렌더 단축키와 커스터마이징을 알아볼게요 크기 초기화 Alt + S 회전 초기화 Alt + R 위치 초기화 Alt + G 크기 조절 S 오브젝트 회전 R 오브젝트 이동 G 위에서 간략하게 단축키를 눌렀을 때 어떻게 조작이 가능한지 설명했는데요 다시 정리하겠습니다. 이동(G): 오브젝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 시킬 수 있습니다. 회전(R): 오브젝트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 시킬 수 있습니다. 스케일 조정(S) 오브젝트를 원하는 크기로 키우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위치 초기화(Alt + G): 이동 시킨 오브젝트의 위치를 초기화 합니다. 회전 초기화(Alt + R): 회전 시킨 오브젝트의 회전을 초기화 합니다. 크기 초기화(Alt + S): 키우거나 줄인 오브젝트의 스케일을 초기화 합니다. 그 다음은 카메라 조작에 대한 단축키 입니다. 숫자키 1 ~ 0 숫자키를 이용하면 오브젝트가 보여지는 카메라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1번부터 0번까지 원하는 카메라 방향대로 오브젝트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 노트북에서 넘버 패드가 없는 경우, 텐키리스 키보드를 사용할 때 설정이 필요합니다. 텐키리스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Edit -> Preferences -> Input -> Emulate Nupad 옵션을 켜야 숫자키를 눌렀을 때 카메라를 회전 시킬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몇 개 더 알아보도록 하...

엑셀 초보도 가능한 업무 자동화, 매크로 완전 쉽게 배우기

이미지
엑셀 메크로 시작하기 우리 주변에 엑셀을 자주 혹은 매일매일 사용하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엑셀을 계속 보고 있으면 이런 생각이 듭니다. 이거 자동으로 안될까? 왜냐하면 의외로 복사 - 붙여넣기로 해결되는게 굉장히 많거든요 복사 - 붙여넣기로 해결된다는 것은 어쩌면 단순 반복 작업이니깐요 만약 이런 부분이 자동화가 된다면? 그래서 오늘은 메크로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문적인 내용은 추후에 다룰 예정입니다. 오늘은 간략하게만 알아보는 수준으로 작성해보겠습니다. 엑셀 메크로란 무엇인가 엑셀에서 메크로는 뭘까요? 메크로는 쉽게 얘기해서 "엑셀 안에서 일어나는 행동을 자동으로 실행시켜주는 기능"입니다. 여기서 엑셀 안에서 일어나는 행동은 어떤게 있을까요? 예를 들면 위에서 얘기했던 것처럼 복사 - 붙여넣기를 자주 하는 경우 데이터 및 정리를 자주 하는 경우 (특정 셀에 숫자를 입력하고 계산) 이런 업무를 자주 하신다면 메크로가 굉장히 반가울 수 있습니다. 엑셀 메크로 사용해보기 자 일단 가장 먼저 엑셀을 실행한 다음에 파일 - 옵션 - 리본 사용자 지정으로 이동해주세요 그 다음에 오른쪽에 있는 개발 도구를 체크해주세요 자 그럼 도움말 왼쪽에 개발 도구가 추가된게 보이시죠? 자 그럼 매크로 기록을 클릭해주세요 자 위의 이미지처럼 매크로를 녹화한 다음에 매크로를 실행시키면 똑같이 적용되는게 보이시죠? 방금 매크로를 하나 만들어버렸습니다. 정말 쉽죠? 매크로를 활용한다면 더 복잡하고 깊은 내용까지 들어갈 수 있지만 오늘은 정말 간단하게 매크로가 뭔지 어떻게 시작하는건지에 대해서만 알아보는게 목적이었습니다. 매크로 이제 시작은 간단하게 하실 수 있겠죠 혹시나 나중에 시간이 된다면 VBA까지 활용해서 조금 더 깊게 활용하는 방법으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나 다른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bit.ly/42VSTPS https://bit.ly/4j2EI0a https://bit....

[Unreal] 언리얼 초보 탈출! 프로젝트 세팅에서 꼭 건드려야 할 항목 모음

이미지
언리얼 엔진 프로젝트 세팅 언리얼 엔진을 처음 설치하고 나서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이 있습니다. 바로 프로젝트 세팅(Project Setting)을 제대로 설정해야합니다. 이 단계를 대충 넘기지 말고 제대로 설정하는게 중요합니다. 게임의 성능과 저장 입력 방식 다양한 기능들이 이곳에서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언리얼 엔진에서 꼭 설정해야 하는 프로젝트 세팅 항목들을 아주 쉽게 설정하고 넘어가도록 할거에요 프로젝트 세팅이 왜 중요한가. 우리가 처음 언리얼 프로젝트 세팅을 할때는 별 문제가 없어보이거든요 근데 막상 제대로 돌려보면 입력이 제대로 안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런 문제가 생긴다는건 아마도 프로젝트 세팅을 제대로 안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인 프로젝트 세팅 중 필수항목만 세팅해볼게요 입력(Input) 설정 입력 설정을 진행할거에요 일단 Edit -> ProjectSettings -> Input으로 이동합니다. 자 일단 간다하게 두 가지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ction Mappings에서 Jump, Fire, Interact 쉽게 얘기해서 점프와 상호작용 등을 설정합니다. Axis Mappings에서 MoveForward, MoveRight 움직일때 이동 방향 정의 등을 설정합니다. 세이브 데이터 경로 설정(Save Game) 설정 Edit -> Project Settings -> Platforms -> Windows 처럼 플랫폼 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자 여기서 Platforms를 보면 어떤 플랫폼을 활용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 플랫폼 별로 설정을 해주면 됩니다. 게임 인스턴스(Game Instance) 설정 자 게임 인스턴스 설정입니다. 동일하게 Project Settings -> Maps & Modes -> Game Instace Class 제일 하단에 있는 항목입니다. GameInstance 클래스를 만들고 여기에 설정하면됩니다. 맵과 모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