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024의 게시물 표시

[Office365] 엑셀로 매출 그래프 쉽게 만들기: 차트 초보 탈출 가이드

이미지
엑셀을 숫자만으로 보게 되면 너무 어렵고 헷갈립니다. 근데 이걸 그림처럼 보게 되면 이해하기가 쉽겠죠?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 글에서 '차트(그래프)'를 사용해서 숫자를 그림처럼 한눈에 보기 쉽게! 만들어 볼 예정입니다. 이 글에서 우리는 엑셀로 매출 데이터를 입력하고, 차트(그래프)를 쉽게 만드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엑셀로 매출 차트 만드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 숫자에 약하더라도 그림으로 이해하는 차트 바로 알아봅시다!! 왜 엑셀 차트가 필요할까요?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우리는 많은 숫자를 다룰 수밖에 없습니다. 예시를 들어볼게요 서울에 있는 버거킹 전체 매장의 매출을 알아본다고 해볼게요 그럼 날짜에도 숫자가 들어가고 매출에도 숫자가 들어가고 매장 코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여기까지만 보더라도 숫자가 대단히 많습니다. 숫자만 잔뜩 있게 된다면 표는 헷갈리고 이해하기도 어렵겠지요 이럴 때 사용하는 게 바로 엑셀 차트, 즉 그래프입니다. 차트를 만들면 복잡한 정보도 한눈에 알 수 있고, 모든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자 일단 간략하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면 바로 차트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그래프로 만들고자 하는 범위를 설정해 주세요 저는 가게 이름,  매출 모두 포함했습니다. 그리고 선택한 다음에 세로 막대형 그래프를 선택해 주세요 자 그럼 세로 막대형 그래프를 선택하고나면 어떻게 나오게 될까요? 추가적으로 차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제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차트 제목을 클릭하면 바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막대 그래프의 색을 변경하고 싶다면 차트를 클릭한 다음 우측에 붓(차트 스타일)을 클릭해주세요 그 다음 스타일 옆에 있는 색을 선택해서 막대 그래프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디테일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차트는 왜 필요한지 다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셀 차트를 만들면 복잡한 숫자도 그림으로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지금 예시로 들어본 매출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

제이콥의 법칙 실생활 사례

이미지
 제이콥의 법칙은 사용자가 이미 익숙한 경험이 있으므로 새로운 것을 사용할 때 이전과 익숙한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더 선호하고 쉽게 사용한다는 법칙입니다. 전편에 이어서 제이콥의 법칙 실생활 사례 2번째 입니다. 제이콥의 법칙 실생활 사례2는 제이콥의 법칙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아 혼란을 초래하거나 필요했을 법한 상황에 대한 사항입니다. 윈도우8 시작 메뉴 제거 2012년 정식 출시된 윈도우8은 기존에 사용자들이 익수개하게 조작했던 시작메뉴를 제거하고 완전히 다른 형태의 시작메뉴를 도입합니다. 이전까지 사용하던 방식에 익숙하던 사용자들은 윈도우 8의 급격한 변화에 다소 불편을 겪게 됩니다. 이미 익숙한 조작과 디자인이 있는 상태에서 완전히 다른 형태의 디자인이 나오게 되면서 새로 학습하는데 시간이 소모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기존에 윈도우를 사용하던 유저들이 불편함을 크게 느끼던 사항은 시작메뉴가 사라지면서 익숙한 작업방식과 조작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불편함을 느끼게 도니 것입니다. 급격한 변화로 인해 불편한 경험이 발생함에 따라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10부터 다시 이전 방식의 시작 메뉴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자동차의 일부 차이점 여기서 살펴 보면 자동차별로 다소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A자동차는 기어봉 방식의 변속을 지원합니다. B자동차는 다이얼 방식의 변속을 지원합니다. C자동차는 휠에 장착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보면 기어 시프트가 브랜드가 아예 다르거나 같은 브랜드라도 기어 시프트의 위치가 다소 차이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평소에 B 자동차를 끌고 다니던 운전자는 A자동차 조작 시 처음에는 다소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A,C 자동차를 끌고 다니던 운전자는 B자동차 조작 시 A운전자와 동일하게 변속에 대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에 따라 시동이 자동차 키를 돌려 시동을 거는 자동차가 존재하기도 하고 센터페시아 중간에 배치되어 시동을 거는 자동차도 존재합니다 또한 운전석 핸...

제이콥의 법칙 실생활 사례 (1)

이미지
 제이콥의 법칙은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하고 있던 방식에 적응하여 다른 것을 사용하더라도 이미 이숙한 방식을 선호하며, 그 방식과 유사할 경우 더 쉽게 사용한다는 법칙입니다. 그럼 간단하게 실생활에서 제이콥의 법칙이 적용된 사례 두 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운전석 자동차 운전석은 국가에 따라 살짝 다르긴 합니다. 운전석의 위치가 왼쪽 혹은 오른쪽에 배치되는 것이 차이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운전석에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핸들과 엑셀, 브레이크 등은 항상 똑같이 배치됩니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는 핸들과 가속,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는 이미 알고 있으므로 해당 사항도 제이콥의 법칙이 실생활에 적용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엘리베이터 버튼 엘리베이터를 탔습니다 물론 여기서도 차이가 존재하긴 합니다 1층이 로비로 표시된 엘리베이터가 있기도 하고 로비층과 별도로 표시된 엘리베이터가 존재하기도 하죠 하지만 문이 닫히고 열리는 버튼은 어떤 엘리베이터를 타더라도 동일한 디자인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익숙한 디자인에 쉽게 조작할 수 있습니다. 엘리베이터 버튼도 제이콥의 법칙이 실생활에 적용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피츠의 법칙 활용 방법

이미지
피츠의 법칙은 사용자가 선택과 결정하는 것에 발생하는 상호작용에 대하여 대상의 크기와 위치를 고려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1. 배치할 항목에 대하여 중요도를 선정하기 좋게 얘기하면 모든 조작과 정보가 중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어떤 화면에서 어떤 정보를 전달할지를 선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각 화면에 따른 정보 전달 요소를 선정한 후 이에 대한 중요도를 세부적으로 정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중요도에 따른 UI 크기 설정 자 그렇다면 예시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상품을 판매할 페이지를 만들 겁니다. 우리는 무언가를 판매해야 하는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가장 중요한 UI 요소는 뭘까요 ‘구매하기’일 겁니다. 그렇다면 구매하기 버튼의 크기를 명확하게 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색을 넣고 다른 UI에 비해 다소 크게 크기를 설정했습니다. 일단 판매 페이지이므로 ‘상품 구매‘ 혹은 ‘구매하기’ 버튼이 가장 중요하므로 다른 UI에 비해 가장 우선순위로 배치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우리가 이미 많이 사용 중인 UI를 예시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우리는 크롬, 엣지 등등 웹 브라우저를 사용합니다. 윈도우 환경이라고 가정을 한 후 크롬, 엣지 등을 실행시켰을 때 상단 최우 측을 보면 닫기 버튼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이미 사용 과정에서 학습이 되어있는 부분이며 대부분의 브라우저가 닫기 버튼이 동일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학습이 필요 없는 것이 장점일 수 있습니다. 또한 조작에 용이할 수 있도록 우측 최상단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과정에서 다른 위치에 있는 것보다 실수가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 적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3. 사용 빈도 자주 사용하는 버튼일수록 쉬운 조작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게 좋을 수 있습니다. 단적인 예로 스마트폰을 예시로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폰 통화 버튼은 항상 하단 왼쪽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손쉽게 전화를 걸 수 있게 되어있습니...

피츠의 법칙 실생활 사례

이미지
 피츠의 법칙은 효율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우리 주변에서 피츠의 법칙을 적용한 실생활 사례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현금인출기 현금인출기를 통해 입금하거나 출금을 할 수 있습니다. 또는 입금과 출금 외에도 다른 계좌로 송금하는 것도 가능하며, 돈을 빌리는 것도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현금 인출기에서 적용된 피츠의 법칙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현금 인출기는 선택과 결정의 과정에서 네, 아니오 버튼이 매우 강하게 강조되어 있습니다. 조작의 오류를 줄이고자 하는 목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버튼의 위치는 하단 혹은 상단에 위치되어 있으며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이런 방식은 원하는 선택을 효율적으로 빠르게 선택할 수 있게 해줍니다. 2. 전자레인지 전자레인지에는 무수히 많은 동작이 있습니다. 분단위로 가동 사킬 수 있는 버튼이 있거나 특정한 조건인 해동과 소독 등의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에 설명한 예시 동작들을 실행할때 모두 동일한 조건이 필요합니다. 모두 일정 량의 가열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전자레인지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은 가열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단순 가열하는 버튼은 전자레인지에서 가장 크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한번만 눌러도 작동이 시작되며 여러번 눌러서 작동 시간을 늘리는 것도 가능하죠 대부분의 전자레인지에 배치된 가열 버튼 주변을 보면 취소 버튼도 함께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주요 동작인 가열과 취소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자동차 핸들 자 지금 자동차 운전석에 탑승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운전 환경은 이미 저에게 최적으로 갖춰졌기 때문에 안전벨트를 하고 시동을 걸고 출발하도록 하겠습니다. 한참 운전 중인데 블루투스로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전화가 왔습니다. 매우 중요한 전화이기때문에 받아야 하는데 이 상황에서 센터페시아에 손을 가져다 댈 순 없기 때문에 핸들에 부착된 통화 연결 버튼을 누릅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