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Office 365인 게시물 표시

[Figma] 피그마 색상 선택과 변경 방법

이미지
  디자인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어떤 색상을 쓸까?", "이미 적용한 색을 바꾸려면 어떻게 할까?" 이런 고민을 하게 됩니다. 특히 피그마는 웹 기반이기 때문에 버튼, 텍스트 ,배경 등 모든 요소에 색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기 떄문에 고민이 더 깊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단은 피그마에서 색상을 선택하고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 색상 선택 방법 피그마에서 색상을 선택하는 기본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오브젝트를 먼저 선택해 주세요 색상을 바꾸고 싶은 도형, 텍스트, 아이콘 등이 있겠죠 오브젝트를 선택한 후에 오른쪽 속성 패널에서 Fill(채우기)에서 색상을 클릭하면 아래 이미지처럼 색상을 선택할 수 있는 UI가 나옵니다. 변경하고자 하는 색상을 선택해 주면 됩니다. 이때 색상을 변경하는 방법은 총 세 가지입니다. 색상 피커를 직접 드래그 해서 색상을 변경하는 방법 HEX 코드를 입력(예시: #FF0000, #00FF00 등) RGBA 값 입력 - Red, Green, Blue, Alpha(투명도) 값을 직접 입력합니다. 이렇게 하면 원하는 색상을 아주 정밀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색상 변경 & 관리 방법 색상을 고른 뒤에는 프로젝트 전반적으로 일관성 있게 사용하거나 상황에 맞게 변경해야 합니다. 색상 변경하기 이미 적용한 색상을 바꾸려면 위의 방법과 동일하게 Fill 항목을 클릭해서 변경합니다. 새로운 색상을 선택하면 바로 적용됩니다. 색상 스타일 만들기 자주 쓰는 색은 Style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Fill > 우측 상단 + 버튼을 클릭해서 원하는 이름을 입력하고 색상을 저장합니다. 그러면 아래 이미지처럼 스타일로 색상이 저장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러리에 추가된 게 보이시죠? 스타일로 지정한 색상은 그 색이 적용된 모든 오브젝트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예를 들면 "메인 버튼 색상"을 초록에서 파랑으로 변경한 경우 전체 버튼이 모두 변경됩니다. 이 외에도...

[Office 365] 워드 문서 병합(Mail Merge) 쉽게 따라하기

이미지
워드를 사용하면서 한 번쯤 비슷한 내용을 여러 사람에게 보내는 상황이 있었을 겁니다. 결혼식 초대장을 수백명에게 보내거나 회사 고객들에게 내용을 보내는 등의 일이지요 이때 이름이나 주소만 다를 뿐 내용은 거의 같습니다. 만약 이를 일일이 복사 붙여넣기를 하게 되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손도 아픕니다. 바로 이런 상황에서 유용한 기능이 바로 워드의 문서 병합(Mail Merge)입니다. 이 기능은 쉽게 말하자면 한 장의 틀(양식)에 여러 사람의 정보를 자동으로 채워주는 기능입니다. 이 글에서 문서 병합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서 병합 기본 이해 문서 병합이란 뭘까요? 워드에서 '메일 머지(Mail Merge)'라고 부르는 기능은 대량의 개인화된 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도구입니다. 하나의 본문 문서(예: 초대장 양식)에 여러 명단 데이터를 연결하면, 이름과 주소 전화번호 등을 각각 자동으로 채워주고 개별 문서가 완성됩니다. 필요한 내용은 워드 문서(본문이 들어간 문서)와 데이터 파일(이름, 주소, 연락처)등이 정리된 표입니다. 그러면 먼저 엑셀에 명단을 작성해주세요 그리고 워드에서 문서 병합을 시작해 주세요 워드를 실행한 다음 [메일 (편지)]탭을 선택합니다. [메일 병합 시작]을 선택해서 원하는 형식을 선택해 주세요(워드에서 편지 탭을 누르면 됩니다.) 자 그다음에는 받는 사람을 선택해야겠죠 [받는 사람 선택]을 선택해 주세요. 우리는 이미 엑셀로 정리했기 때문에 기존 목록 사용을 클릭하면 됩니다. 그 후에 저장한 엑셀 데이터를 불러와 주세요. 그 다음은 병합 필드를 삽입해주세요 문서에 원하는 위치에 커서를 두고 [병합 필드 삽입]을 클릭한 다음 필드를 선택하고 삽입을 눌러주세요 이런 방식을 활용하면 100명에게 보낼 초대장도 5분 만에 끝낼 수 있습니다. 자 그러면 간단하게 궁금하실만한 내용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문서 병합에는 꼭 엑셀이 필요할까요? > 아닙니다. 워드 안에서 직접 명단을 만들 수 있지만, ...

[Office 365] PPT 배경음악 넣는 쉬운 방법

이미지
우리가 발표 혹은 강의를 준비하면서 PPT 슬라이드를 많이 활용합니다. 근데 정말 글로만 작성된 PPT는 이해시키기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특정 포인트에서 감동을 주고 싶거나 분위기를 전환하거나 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영상으로 대체 할 수도 있겠지만 이미지에 어울리는 음악을 추가하는 게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근데 PPT에 음악을 추가하는 게 어려울까요? 아닙니다. 아주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을 통해서 PPT에 배경 음악을 넣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PT에 음악 삽입하는 방법  자 일단 파워포인트를 열고 추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추가하는 방법은 아주 쉽습니다. 파워포인트 실행하기 상단 메뉴에서 [삽입] > [오디오] > [내 PC의 오디오] 클릭 준비해 둔 사운드 파일 선택 후 추가 자 이렇게 하면 위의 이미지처럼 스피커 아이콘이 생성됩니다. 만약 자동 재생을 설정하고 싶다면 상단 [오디오 도구] > [재생]을 클릭해 주세요 만약 특정 슬라이드가 아닌 모든 슬라이드에서 재생하고 싶다면? [재생] 탭에서 "슬라이드 간 재생" 또는 "모든 슬라이드에서 재생"을 체크해주세요. 만약 반복(루프)하고 싶다면 설정하면 됩니다. 그럼 추가로 슬라이드마다 음악을 다르게 넣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방식대로 추가하지만 모든 슬라이드에서 재생만 체크 해제 하면 됩니다. 그렇게 해주시면 슬라이드별로 다른 음악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배경음악 하나로 PPT의 인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차분한 발표에 감성을 더하고, 청중의 집중을 도와주며, 전체적인 완성도를 높여주는 거죠 자 그러면 정리해보겠습니다. 음악은 [삽입] > [오디오] > [자동 재생] > [모든 슬라이드 재생]이 이 글의 핵심입니다. 분위기를 바꾸고 싶다면 슬라이드마다 다른 음악을 설정 자 그러면 간단하게 PPT에 음악을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다면 하단의 링크를 참고해...

[Office 365] 엑셀 SUBTOTAL 함수로 그룹별 합계 구하기

이미지
엑셀에서 그룹별 합계를 빠르고 정확하게 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SUBTOTAL 함수면 필터 젹용된 데이터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실전 예제까지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SUNTOTAL이 왜 필요할까? 엑셀에서 합계를 구할 때 보통 SUM 함수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런데 데이터를 필터링했다면 합계가 그대로인 경우가 발생합니다. 바로 이런 상황에서 SUBTOTAL 함수를 사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SUBTOTAL 함수는 단순 합계를 넘어, 필터 된 값만 계산하거나 숨긴 값은 제외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SUBTOTAL 함수 기초 개념 이해하기 SUBTOTAL 함수는 SUBTOTAL(함수_번호, 범위)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여기서 함수_번호는 어떤 계산을 할지 정하는 숫자입니다. 자 SUBTOTAL 함수를 썼더니 굉장히 많은 함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눈에 띄는 걸 보면 1, 2, 3, 9, 10 등이 보이네요 1번은 평균, 2번은 개수, 3번은 빈칸 제외 개수, 9번은 합계, 10번은 곱셈 등등이네요 자 그러면 간단하게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하게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팀별로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리한 상태입니다. 그라녀 여기서 팀별로 매출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9번 함수를 사용한 후에 범위를 설정했습니다. 제일 위에 있는 값부터 순서대로 개발팀, 마케팅팀, 영업팀 순서입니다. 그리고 여기에 필터를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필터를 적용해서 개발팀만 남겼더니 개발팀의 매출인 1,750만 남고 나머지 값은 0이 됐습니다. 이건 SUBTOTAL이 제대로 적용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필터로 제외된 값은 모두 제외된 상태입니다. 반대로 다른 팀을 선택한 상태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케팅 팀을 선택하면? 마케팅 팀의 매출만 잡힙니다. 자 간단하게 알아봤습니다. 단순 합계를 구하는 SUM보다 훨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SUBTOTAL 특히 바로 위에서 보셨던것처럼 필터된 데이터만 보고 싶을때, 여러 ...

[Office 365] 엑셀 TODAY, NOW 함수로 날짜 자동 입력하기

이미지
  엑셀에서 날짜를 입력할 때 일일이 매번 손으로 입력하게 되면 굉장히 번거롭습니다. 그리고 오늘이 며칠인지 헷갈릴 수 있고요 매일 적는 게 번거롭다면? 엑셀의 TODAY 함수와 NOW 함수를 꼭 알고 사용하셔야 합니다. 이 두 함수는 현재 날짜나 현재 시간을 자동으로 입력해 주는 함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 관리, 보고서 작성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 날짜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직접 입력 해 보자 자동 날짜 자 그럼 자동 날짜를 직접 입력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정말 간단하기 때문에 집중해서 봐주세요 간단하게 목차를 만들어봤습니다. 날짜에 =TODAY()를 입력하면 바로 날짜가 입력됩니다.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쉽죠? 그럼 이어서 =NOW 함수를 사용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아래 이미지는 =NOW 함수를 입력한 결과입니다. 자 간단하게 두 개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ODAY() 함수는 날짜만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NOW() 함수는 날짜 + 시간까지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이 두 가지 함수만 알아도, 엑셀 작업의 효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매일 엑셀을 열 때마다 날짜를 다시 입력하지 않아도 되고, 시간까지 기록해야 하는 업무에도 제격입니다. 앞으로 보고서나 일지를 작성할 때 =TODAY(), =NOW()를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엑셀을 훨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다면 하단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PPT 전환 효과 멋지게 넣는 방법 https://bit.ly/4eWmcGk 엑셀 SUMPRODUCT 함수 쉽게 배우기 https://bit.ly/4lL8QPq 엑셀로 매출 그래프 쉽게 만들기: 차트 초보 탈출 가이드 https://bit.ly/43CCxMo

[Office 365] 워드 페이지 번호 삽입과 편집하는 방법

이미지
  워드 문서에서 페이지 번호를 삽입하고 자유롭게 편집하는 쉬운 방법 그리고 상단/하단 위치 설정부터 첫 페이지 제거, 숫자 형식 변경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워드 페이지 번호 삽입 워드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꼭 필요한 기능 중 하나가 바로 페이지 번호입니다. 페이지 번호를 추가함으로써 보고서와 리포트, 제안서 같은 문서에는 페이지 번호가 없다면 쉽게 찾을 수 없거나 헷갈리고 심하다면 누락되는 경우도 생기게 됩니다. 먼저 상단 탭에서 [삽입]을 클릭해 주세요 그리고 페이지 번호를 클릭해주세요 일단 페이지 번호를 하단 왼쪽에 추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첫 페이지만 없앨 수 있을까요? 그것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하단에 있는 페이지를 더블 클릭하면 상단에 머리글/바닥글이 선택된 상태가 됩니다. 거기서 첫 페이지를 다르게 지정 을 클릭하면 첫 페이지에서만 번호가 사라지게 됩니다. 페이지 번호는 다른 위치로도 설정이 가능합니다. 지금은 좌측 하단이지만 상단이나 가운데로도 설정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워드에서 페이지 번호를 삽입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삽입 > 편집 > 삭제까지 배워봤습니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삽입] 탭 > [페이지 번호]로 번호 추가 [디자인] 탭에서 위치 변경, 첫 페이지 제거 가능 [페이지 번호 서식]에서 번호 모양과 시작 위치 조절 페이지 번호 넣는거 아주 쉽죠? 앞으로 유용하게 사용하시길 빕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다면 하단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엑셀 SUMPRODUCT 함수 쉽게 배우기 https://bit.ly/4lL8QPq 엑셀 오름차순, 내림차순 쉽게 정렬하기 https://bit.ly/3Gn6h7l 엑셀로 매출 그래프 쉽게 만들기: 차트 초보 탈출 가이드 https://bit.ly/43CCxMo

[Office 365] 엑셀에서 하이퍼링크 설정하고 삭제하는 법

이미지
  엑셀에서 하이퍼링크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말 쉽기 때문에 아주 쉽게 따라 하실 수 있으실 거에요 하이퍼 링크란? 엑셀은 단순한 숫자 계산을 넘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훌륭한 툴입니다. 그 수많은 기능 중 하나가 바로 하이퍼링크(Hyperlink)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엑셀 셀을 클릭했을 때 특정 웹사이트나 다른 파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죠 하지만 모른다면 사용할 수 없는 기능이므로 이번에 간단하게 익히고 앞으로 유용하게 사용해 보시죠 엑셀에서 하이퍼링크 설정하는 방법 엑셀에서 하이퍼 링크를 삽입하는 방법은 아주 쉽습니다. 일단 예시로 엑셀에서 구글 하이퍼링크를 삽입하고 넷플릭스 페이지가 나오도록 해보겠습니다. 먼저 엑셀을 실행시킨 다음 셀을 선택한 다음 '넷플릭스'라고 입력하겠습니다. 그리고 '넷플릭스'라고 입력한 셀을 우클릭한 다음 '링크' > '링크 삽입'을 클릭해 주세요 자 밑에 보이는 주소에 홈페이지 주소를 넣고 확인을 클릭해 주세요 그럼 클릭했을 때 넷플릭스 홈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자 삭제는 어떻게 할까요? 링크가 필요 없어졌거나 수정해야 할 때는 이렇게 하면 됩니다. 하이퍼링크 편집, 하이퍼링크 열기, 하이퍼링크 제거가 보이시죠? 하이퍼링크 열기: 클릭했을 때 열리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기능입니다. 하이퍼링크 편집: 주소를 수정해야 할 때 이용하는 기능입니다. 위에서 본 이미지처럼 같은 창이 뜹니다. 하이퍼링크 제거: 하이퍼링크를 제거합니다. * 하이퍼링크 여러 개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습니다. 드래그로 선택한 후 '하이퍼링크 제거'를 클릭하면 하이퍼 링크가 제거됩니다. 그러면 정리해보겠습니다. 엑셀에서 하이퍼링크를 설정하거나 삭제, 편집하는 기능은 매우 쉽습니다. 링크를 넣고 싶을 땐 셀 선택 후 링크 추가를 해서 넣으면 됩니다. 반대로 링크를 지우고 싶을 땐 링크가 걸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