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fice365] 엑셀로 매출 그래프 쉽게 만들기: 차트 초보 탈출 가이드

이미지
엑셀을 숫자만으로 보게 되면 너무 어렵고 헷갈립니다. 근데 이걸 그림처럼 보게 되면 이해하기가 쉽겠죠?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 글에서 '차트(그래프)'를 사용해서 숫자를 그림처럼 한눈에 보기 쉽게! 만들어 볼 예정입니다. 이 글에서 우리는 엑셀로 매출 데이터를 입력하고, 차트(그래프)를 쉽게 만드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엑셀로 매출 차트 만드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 숫자에 약하더라도 그림으로 이해하는 차트 바로 알아봅시다!! 왜 엑셀 차트가 필요할까요?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우리는 많은 숫자를 다룰 수밖에 없습니다. 예시를 들어볼게요 서울에 있는 버거킹 전체 매장의 매출을 알아본다고 해볼게요 그럼 날짜에도 숫자가 들어가고 매출에도 숫자가 들어가고 매장 코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여기까지만 보더라도 숫자가 대단히 많습니다. 숫자만 잔뜩 있게 된다면 표는 헷갈리고 이해하기도 어렵겠지요 이럴 때 사용하는 게 바로 엑셀 차트, 즉 그래프입니다. 차트를 만들면 복잡한 정보도 한눈에 알 수 있고, 모든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자 일단 간략하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면 바로 차트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그래프로 만들고자 하는 범위를 설정해 주세요 저는 가게 이름,  매출 모두 포함했습니다. 그리고 선택한 다음에 세로 막대형 그래프를 선택해 주세요 자 그럼 세로 막대형 그래프를 선택하고나면 어떻게 나오게 될까요? 추가적으로 차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제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차트 제목을 클릭하면 바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막대 그래프의 색을 변경하고 싶다면 차트를 클릭한 다음 우측에 붓(차트 스타일)을 클릭해주세요 그 다음 스타일 옆에 있는 색을 선택해서 막대 그래프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디테일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차트는 왜 필요한지 다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셀 차트를 만들면 복잡한 숫자도 그림으로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지금 예시로 들어본 매출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

피츠의 법칙 실생활 사례

 피츠의 법칙은 효율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우리 주변에서 피츠의 법칙을 적용한 실생활 사례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현금인출기

현금인출기를 통해 입금하거나 출금을 할 수 있습니다.

또는 입금과 출금 외에도 다른 계좌로 송금하는 것도 가능하며, 돈을 빌리는 것도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현금 인출기에서 적용된 피츠의 법칙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현금 인출기는 선택과 결정의 과정에서 네, 아니오 버튼이 매우 강하게 강조되어 있습니다. 조작의 오류를 줄이고자 하는 목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버튼의 위치는 하단 혹은 상단에 위치되어 있으며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이런 방식은 원하는 선택을 효율적으로 빠르게 선택할 수 있게 해줍니다.




2. 전자레인지

전자레인지에는 무수히 많은 동작이 있습니다. 분단위로 가동 사킬 수 있는 버튼이 있거나 특정한 조건인 해동과 소독 등의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에 설명한 예시 동작들을 실행할때 모두 동일한 조건이 필요합니다. 모두 일정 량의 가열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전자레인지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은 가열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단순 가열하는 버튼은 전자레인지에서 가장 크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한번만 눌러도 작동이 시작되며 여러번 눌러서 작동 시간을 늘리는 것도 가능하죠

대부분의 전자레인지에 배치된 가열 버튼 주변을 보면 취소 버튼도 함께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주요 동작인 가열과 취소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자동차 핸들

자 지금 자동차 운전석에 탑승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운전 환경은 이미 저에게 최적으로 갖춰졌기 때문에 안전벨트를 하고 시동을 걸고 출발하도록 하겠습니다.

한참 운전 중인데 블루투스로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전화가 왔습니다.

매우 중요한 전화이기때문에 받아야 하는데 이 상황에서 센터페시아에 손을 가져다 댈 순 없기 때문에 핸들에 부착된 통화 연결 버튼을 누릅니다.

이처럼 자동차 운전과 같은 상황에서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면서 조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핸들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일정 속도로 지속 주행하는 크루즈 컨트롤을 포함하여, 볼륨을 높이고 낮추는 등의 조작과 전화 받기 등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조작 가능하도록 대부분의 차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4. 교통수단 결제

이제 다른 상황을 가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버스와 지하철을 타고 학교에 가야 합니다. 먼저 버스정류장에 도착해서 버스를 기다렸고 버스에 탑승했습니다.

교통카드를 이용해서 버스비를 결제하고 자리에 앉았습니다.

그리고 이제 지하철역 근처 버스정류장에서 내려서 지하철로 갈아탔습니다.

이제 학교만 가면 됩니다.

이 상황에서 우리는 크게 두 가지 상황을 겪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1. “버스정류장에 도착하고 버스를 기다렸다.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결제“
  2. “지하철역 근처 버스정류장에서 내려 지하철을 타기 위해 교통카드로 결제”

두 가지 상황인 버스 탑승과 지하철 탑승 과정에서 우리는 모두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요금을 결제했습니다.

그럼, 교통카드를 태그하는 위치는 매번 변할까요? 아니죠. 교통카드 태그 위치는 항상 고정되어 있습니다.

남녀노소 모두 인식하고 있는 위치에 가져다 대고 결제를 하므로 효율성이 매우 높은 배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탑승까지 하는 방식에 추가 학습은 거의 필요하지 않으며 손쉽게 결제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힉의 법칙 장점

데이터베이스 구조란? 테이블과 키 등등 쉬운 설명!!

[Office365] 엑셀로 매출 그래프 쉽게 만들기: 차트 초보 탈출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