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024의 게시물 표시

[Office 365] 엑셀 SUBTOTAL 함수로 그룹별 합계 구하기

이미지
엑셀에서 그룹별 합계를 빠르고 정확하게 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SUBTOTAL 함수면 필터 젹용된 데이터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실전 예제까지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SUNTOTAL이 왜 필요할까? 엑셀에서 합계를 구할 때 보통 SUM 함수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런데 데이터를 필터링했다면 합계가 그대로인 경우가 발생합니다. 바로 이런 상황에서 SUBTOTAL 함수를 사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SUBTOTAL 함수는 단순 합계를 넘어, 필터 된 값만 계산하거나 숨긴 값은 제외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SUBTOTAL 함수 기초 개념 이해하기 SUBTOTAL 함수는 SUBTOTAL(함수_번호, 범위)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여기서 함수_번호는 어떤 계산을 할지 정하는 숫자입니다. 자 SUBTOTAL 함수를 썼더니 굉장히 많은 함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눈에 띄는 걸 보면 1, 2, 3, 9, 10 등이 보이네요 1번은 평균, 2번은 개수, 3번은 빈칸 제외 개수, 9번은 합계, 10번은 곱셈 등등이네요 자 그러면 간단하게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하게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팀별로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리한 상태입니다. 그라녀 여기서 팀별로 매출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9번 함수를 사용한 후에 범위를 설정했습니다. 제일 위에 있는 값부터 순서대로 개발팀, 마케팅팀, 영업팀 순서입니다. 그리고 여기에 필터를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필터를 적용해서 개발팀만 남겼더니 개발팀의 매출인 1,750만 남고 나머지 값은 0이 됐습니다. 이건 SUBTOTAL이 제대로 적용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필터로 제외된 값은 모두 제외된 상태입니다. 반대로 다른 팀을 선택한 상태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케팅 팀을 선택하면? 마케팅 팀의 매출만 잡힙니다. 자 간단하게 알아봤습니다. 단순 합계를 구하는 SUM보다 훨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SUBTOTAL 특히 바로 위에서 보셨던것처럼 필터된 데이터만 보고 싶을때, 여러 ...

밀러의 법칙 사례

이미지
밀러의 법칙은 사람이 단기간에 기억할 수 있는 정보는 한정적이라는 심리학 이론입니다. 밀러의 법칙에서 말하는 사람이 단기간에 기억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평균 7개라고 합니다. 그럼 사람이 효율적으로 기억하고 정보를 활용하는 사례는 어떤게 있는지 사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로 표지판 우리가 운전 중에 보게 되는 고속도로 표지판 입니다. 위 예시 이미지는 직진 좌회전 우회전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운전자는 가고자 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기억한 뒤 운전 조작을 진행하면 되므로 과도한 정보 전달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화장실 안내 우리가 밖에서 용변이 급할 경우 화장실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이때 개방 화장실이 있는 건물에 들어갔더라도 안내판을 보고 화장실을 찾아가죠 표시를 따라가다 보면 보면 화장실 까지의 거리 남녀 구분, 장애인 화장실 여부 등을 알려줍니다. 물론 화장실에 대한 정보가 이 외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사항들이 물론 있을 수 있습니다. (당장은 생각이 딱히 나지 않는군요) 그렇기 때문에 화장실에 대한 정보 전달도 밀러의 법칙이 적용된 사례라고 볼 수 있을 겁니다. 네비게이션 안내 우리가 운전을 할 때 길을 잘 알지 못하는 길이나 빨리가고자 할때 네비게이션을 활용합니다. 네비게이션을 활용할 경우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주행 중에 운전자에게 인식되는 정보는 경로와 현재 주행 중인 도로에 대한 사항 등을 전달합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은네비게이션은 주행 중에 운전자가 정말 필요한 정보인 경로와 도로에 대한 정보만을 전달하므로 운전자가 과도한 정보로 헷갈리지 않게 합니다. 이 사례도 밀러의 법칙이 적용된 사례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게슈탈트 원리 실생활 사례

이미지
게슈탈트의 원리는 여러 형태의 모양이나 물건을 볼 때 이것을 하나 하나 나눠서 보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큰 그림으로 하나의 형태처럼 보는 것을 말합니다. 게슈탈트 원리가 적용된 실생활 사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대시보드 우리가 운전 중에 단순하게 보면 안전벨트를 매지 않았거나 기름이 부족한 경우 경고등이 들어오죠 그 외에도 엔진이 과열된 상태에서도 대시보드에 경고등이 들어옵니다. 이처럼 자동차 운전석을 보면 대시보드에 운전자가 주의해야할 사항에 대해서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런 정보를 통해서 운전자는 운전 중에 경고등이 들어오더라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영화관 좌석 예약 한 가지 상황을 예시로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저녁에 영화를 보러 가고 싶어서 찾아봤는데 마침 적당한 시간에 예약도 많이 없고 직접 예약을 하려고 합니다. 이때 우리는 손쉽게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활용해서 예약하고 결제까지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때 우리가 좌석을 예약하면서 화면에 표시된 좌석들을 확인하면 1번부터 n번 자리까지 A ~ Z까지 알파벳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물론 저는 아직까지 Z열까지 있는 영화관은 보지 못했습니다.) 이처럼 직관적으로 알파벳 어떤 열에 몇 번 자리에 앉을지 쉽게 예약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