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슈탈트 원리 실생활 사례

게슈탈트의 원리는 여러 형태의 모양이나 물건을 볼 때 이것을 하나 하나 나눠서 보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큰 그림으로 하나의 형태처럼 보는 것을 말합니다.

게슈탈트 원리가 적용된 실생활 사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대시보드



우리가 운전 중에 단순하게 보면 안전벨트를 매지 않았거나 기름이 부족한 경우 경고등이 들어오죠 그 외에도 엔진이 과열된 상태에서도 대시보드에 경고등이 들어옵니다.

이처럼 자동차 운전석을 보면 대시보드에 운전자가 주의해야할 사항에 대해서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런 정보를 통해서 운전자는 운전 중에 경고등이 들어오더라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영화관 좌석 예약


한 가지 상황을 예시로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저녁에 영화를 보러 가고 싶어서 찾아봤는데 마침 적당한 시간에 예약도 많이 없고 직접 예약을 하려고 합니다.

이때 우리는 손쉽게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활용해서 예약하고 결제까지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때 우리가 좌석을 예약하면서 화면에 표시된 좌석들을 확인하면 1번부터 n번 자리까지

A ~ Z까지 알파벳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물론 저는 아직까지 Z열까지 있는 영화관은 보지 못했습니다.)

이처럼 직관적으로 알파벳 어떤 열에 몇 번 자리에 앉을지 쉽게 예약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Notion] 노션 기본 템플릿 5가지 소개와 활용 팁

[Blender] 블렌더 속도 2배! 꼭 알아야 할 단축키와 설정 팁

[Blender] 블렌더 미러 모디파이어(Mirror Modifier) 활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