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fice 365] 엑셀에서 하이퍼링크 설정하고 삭제하는 법

이미지
  엑셀에서 하이퍼링크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말 쉽기 때문에 아주 쉽게 따라 하실 수 있으실 거에요 하이퍼 링크란? 엑셀은 단순한 숫자 계산을 넘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훌륭한 툴입니다. 그 수많은 기능 중 하나가 바로 하이퍼링크(Hyperlink)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엑셀 셀을 클릭했을 때 특정 웹사이트나 다른 파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죠 하지만 모른다면 사용할 수 없는 기능이므로 이번에 간단하게 익히고 앞으로 유용하게 사용해 보시죠 엑셀에서 하이퍼링크 설정하는 방법 엑셀에서 하이퍼 링크를 삽입하는 방법은 아주 쉽습니다. 일단 예시로 엑셀에서 구글 하이퍼링크를 삽입하고 넷플릭스 페이지가 나오도록 해보겠습니다. 먼저 엑셀을 실행시킨 다음 셀을 선택한 다음 '넷플릭스'라고 입력하겠습니다. 그리고 '넷플릭스'라고 입력한 셀을 우클릭한 다음 '링크' > '링크 삽입'을 클릭해 주세요 자 밑에 보이는 주소에 홈페이지 주소를 넣고 확인을 클릭해 주세요 그럼 클릭했을 때 넷플릭스 홈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자 삭제는 어떻게 할까요? 링크가 필요 없어졌거나 수정해야 할 때는 이렇게 하면 됩니다. 하이퍼링크 편집, 하이퍼링크 열기, 하이퍼링크 제거가 보이시죠? 하이퍼링크 열기: 클릭했을 때 열리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기능입니다. 하이퍼링크 편집: 주소를 수정해야 할 때 이용하는 기능입니다. 위에서 본 이미지처럼 같은 창이 뜹니다. 하이퍼링크 제거: 하이퍼링크를 제거합니다. * 하이퍼링크 여러 개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습니다. 드래그로 선택한 후 '하이퍼링크 제거'를 클릭하면 하이퍼 링크가 제거됩니다. 그러면 정리해보겠습니다. 엑셀에서 하이퍼링크를 설정하거나 삭제, 편집하는 기능은 매우 쉽습니다. 링크를 넣고 싶을 땐 셀 선택 후 링크 추가를 해서 넣으면 됩니다. 반대로 링크를 지우고 싶을 땐 링크가 걸린...

[Unreal] 언리얼 초보 탈출! 프로젝트 세팅에서 꼭 건드려야 할 항목 모음

언리얼 엔진 프로젝트 세팅

언리얼 엔진을 처음 설치하고 나서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이 있습니다.

바로 프로젝트 세팅(Project Setting)을 제대로 설정해야합니다.

이 단계를 대충 넘기지 말고 제대로 설정하는게 중요합니다. 게임의 성능과 저장 입력 방식 다양한 기능들이 이곳에서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언리얼 엔진에서 꼭 설정해야 하는 프로젝트 세팅 항목들을 아주 쉽게 설정하고 넘어가도록 할거에요

프로젝트 세팅이 왜 중요한가.

우리가 처음 언리얼 프로젝트 세팅을 할때는 별 문제가 없어보이거든요

근데 막상 제대로 돌려보면 입력이 제대로 안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런 문제가 생긴다는건 아마도 프로젝트 세팅을 제대로 안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인 프로젝트 세팅 중 필수항목만 세팅해볼게요


입력(Input) 설정


입력 설정을 진행할거에요 일단 Edit -> ProjectSettings -> Input으로 이동합니다.

자 일단 간다하게 두 가지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ction Mappings에서 Jump, Fire, Interact 쉽게 얘기해서 점프와 상호작용 등을 설정합니다.

Axis Mappings에서 MoveForward, MoveRight 움직일때 이동 방향 정의 등을 설정합니다.


세이브 데이터 경로 설정(Save Game) 설정

Edit -> Project Settings -> Platforms -> Windows 처럼 플랫폼 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자 여기서 Platforms를 보면 어떤 플랫폼을 활용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 플랫폼 별로 설정을 해주면 됩니다.

게임 인스턴스(Game Instance) 설정


자 게임 인스턴스 설정입니다. 동일하게 Project Settings -> Maps & Modes -> Game Instace Class 제일 하단에 있는 항목입니다.
GameInstance 클래스를 만들고 여기에 설정하면됩니다.

맵과 모드 (Maps & Modes) 설정


Editor Startup Map: 언리얼 에디터를 열었을 때 처음 보여주는 맵을 설정합니다.
Game Defalut Map: 게임 실행 시 시작할 맵을 설정합니다.
여기서 시작할 맵을 MainMenu로 지정하면 항상 메뉴부터 시작됩니다.

맵과 모드 (Maps & Modes) 설정


여기에서는 플랫폼별로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화면 해상도부터 백버튼 처리 설정 여부까지 여기서 진행합니다.
모바일 게임의 경우 스케일 해상도 설정이 필요합니다.

최적화와 보안
Garbage Collection (GC) 설정

객체가 메모리에서 사라지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메모리를 정리해서 게임이 갑자기 꺼지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안 (Security) 설정


Packaging -> Use Pak File을 활성화 합니다.
Encryption/Signing에서 콘텐츠 암호화도 설정 가능합니다.
이건 게임의 리소스를 해킹이나 복사로부터 보호해줍니다.


렌더링 최적화

Rendering 항목에서 Lumen, Nanite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은 성능에 따라서 Lumen을 끄는 것도 고려해봐야합니다.

자동 저장 설정

여기서는 AutoSave 간격을 조절을 하거나 백업 저장 여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은 갑자기 프로그램이 꺼졌을 때 저장된 상태가 날아가지 않게 방지해줍니다.

경로 설정


패키징 시 출력 경로를 원하는 폴더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필드된 파일을 쉽게 찾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포스팅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언리얼 엔진 프로젝트 세팅은 굉장히 복잡해보이지만 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사항이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힉의 법칙 장점

[Blender] 블렌더 속도 2배! 꼭 알아야 할 단축키와 설정 팁

데이터베이스 구조란? 테이블과 키 등등 쉬운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