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ma] 피그마 프레임(Frame) 만들기 완전 초보 가이드


피그마에서 프레임을 처음 만들어보는 분들을 위한 기초 가이드를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프레임의 개념부터 만드는 방법, 활용 팁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디자인 초보, 혹은 기획자들이 피그마를 처음 시작할 때 가장 많이 하는 질문

"프레임이 뭐예요?" 피그마의 프레임은 그냥 사각형이 아닙니다.

우리가 웹, 앱 디자인을 하면서 사용하는 캔버스의 기본이 되는 게 바로 프레임입니다.


위에서 언급했듯 피그마에서 프레임은 화면 , 섹션, 페이지의 뼈대입니다.

디자인을 담을 수 있는 컨테이너이자, 개발자가 구현할 디자인 영역을 정의하는 역할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포토샵의 캔버스', 'PPT의 슬라이드', 'HTML의 div 태그'


자 그렇다면 프레임이 필요한 이유를 다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모바일/웹 UI를 실제 화면처럼 보여줄 수 있음

2. 반응형 디자인을 시뮬레이션

3. 다른 프레임과 비교와 정렬이 쉬움

4. 개발자 전달 시  export의 기준이 됨


프레임 만들어보기

자 간단하게 단축키 F, 혹은 하단에 격자 모양을 클릭해서 프레임을 추가해 주세요



자 그럼 프레임 위에 중첩 프레임(프레임 하나 더 그리기)을 해보겠습니다.

이건 복잡한 화면을 설계할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자 상단의 이미지는 아이패드 프로 11 크기에 아이폰 16 프로 맥스를 중첩한 상태입니다.

이런 형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작업물을 확인하기 위해서 Layer에 생성된 항목 중 하나를 우클릭하여 Rename을 통해

이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은 복사와 붙여넣기도 가능합니다. 그래서 상단 이미지를 보시면 아이패드가 2개 생성되어 있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피그마에서 프레임은 단순히 화면을 그리는 공간이 아닙니다.

전체 UI의 흐름을 계획하고,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핵심 도구입니다.

오늘 배운 방법대로 차근차근 연습하면 복잡한 앱이나 웹 디자인도 프레임부터 깔끔하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다면 하단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피그마 도형 도구(사각형, 원, 선) 사용법

https://bit.ly/46nLGKz


피그마에서 새 디자인 파일 만드는 법

https://bit.ly/4kI75Se


파이썬 VSCode 연동 설치법, 왕초보도 10분이면 끝!

https://bit.ly/3Zj3EJF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Notion] 노션 기본 템플릿 5가지 소개와 활용 팁

[Blender] 블렌더 속도 2배! 꼭 알아야 할 단축키와 설정 팁

[Blender] 블렌더 미러 모디파이어(Mirror Modifier) 활용법